(SD) 미래산업고도화형

의료기기융합정보
교육목표
4차 산업 혁명시대 핵심 산업으로 손꼽히는 시장 중 하나는 '디지털헬스케어'이다. 건강과 보건, 진단과 치료의 필수요소인 다양한 의료기기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식약처')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는 현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헬스케어' 시장 내에서 비대면 진료부터 영상판독, 병리조직진단, 증강현실까지 인증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몇 년 사이에 급성장 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케어'를 체계적으로 확대 보급하고자 식약처에는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에 따라 의료기기 전문인력 양성기관을 지정하고 혁신의료기기 전문인력 양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다가올 미래의 차세대 의료기기 제품 홍보, 판매와 임상보급 및 운용 전문가를 육성하여 혁신 의료기기 인·허가 전문인력 및 품질관리 인력과 특수유통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수학점
8과목(21학점) 중 8과목(21학점)
과정소개
의료기기전문가의 업무인 의료기기관련법, 의료기기규제과학, 영업과 마케팅, 보험, 국제규정 관련된 내용으로 '의료기기 시판전 인허가', '의료기기 임상', '의료기기 사후관리', '의료기기 품질관리', '의료기기 해외인허가' 디지털헬스케어, 의료기기운용 등을 교육한다.



교육과정
교과목명
- 개인 금융자산 관리와 전략
(3-3-0) - 자본시장과 기업가치 분석
(3-3-0) - 데이터 관리와 금융통계분석
(3-3-0) - 데이터 기반의 증권투자와 자산관리
(3-3-0) - 알고리즘 기반 증권투자
(3-3-0) - 주거용 실물자산 시장분석과 투자전략
(3-3-0) - 수익형 실물자산 시장분석과 투자전략
(3-3-0)
2-1
의료기기 관련법(건강보험, 의료기기, 세무 등)
의공학개론
의료기기 품질보증
2-2
의료기기규제과학(국내,외 인허가, 임상, GMP, 사후관리 등)
3-1
프리젠테이션 스킬
디지털 헬스케어 이해
의료기기 관리 및 운용
3-2
의료기기 마케팅 전략
4-1
4-2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필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