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 미래산업고도화형

K-문화콘텐츠산업 경영
교육목표
한류문화의 글로벌화 선도 및 고부가가치 산업인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개발, 기획, 운영, 응용 가능한 글로벌 전문 인재 양성 및 국내·외 문화콘텐츠 산업 네트워크 구축
· 세부목표 1. 문화산업이 국가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서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및 민간 외교적 역할에 대한 인식 제고
· 세부목표 2. 국내/외의 문화산업 관련 정책, 미디어 환경 변화, 관련 인력의 전문성, 파생 산업, 지원시스템 등에 대한 전반적 운영 체계 이해
· 세부목표 3.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산업(K-Contents) 전반에 대한 이해 확대 및 전공 연계를 통한 문화트렌드 인지 역량 함양
· 세부목표 1. 문화산업이 국가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서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및 민간 외교적 역할에 대한 인식 제고
· 세부목표 2. 국내/외의 문화산업 관련 정책, 미디어 환경 변화, 관련 인력의 전문성, 파생 산업, 지원시스템 등에 대한 전반적 운영 체계 이해
· 세부목표 3.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산업(K-Contents) 전반에 대한 이해 확대 및 전공 연계를 통한 문화트렌드 인지 역량 함양
이수학점
9과목(21학점) 중 3과목(9학점)
과정소개
·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역사 및 변화 소개를 위한 전문가 특강
· K-Culture의 문화산업 확대를 위한 운영시스템 이론 및 현장전문가 경험 공유
· K-Culture 산업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유학생 개인의 배경 및 적성에 맞춰 개발/확장 가능한 문화콘텐츠 산업 연계 현장실습
· 문화콘텐츠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의 역할 분담 및 필요 역량 <기획, 구성, 홍보 등> 이해를 위한 이론 및 현장실습
· K-Culture(공연, 영화, 드라마, 뷰티, 음식 등)의 영역별 마케팅 전략 이론 및 실천 기반 캡스톤디자인 운영
※ 본 전공은 외국인 유학생 우선 수강할 수 있음
· K-Culture의 문화산업 확대를 위한 운영시스템 이론 및 현장전문가 경험 공유
· K-Culture 산업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유학생 개인의 배경 및 적성에 맞춰 개발/확장 가능한 문화콘텐츠 산업 연계 현장실습
· 문화콘텐츠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의 역할 분담 및 필요 역량 <기획, 구성, 홍보 등> 이해를 위한 이론 및 현장실습
· K-Culture(공연, 영화, 드라마, 뷰티, 음식 등)의 영역별 마케팅 전략 이론 및 실천 기반 캡스톤디자인 운영
※ 본 전공은 외국인 유학생 우선 수강할 수 있음



교육과정
교과목명
- 개인 금융자산 관리와 전략
(3-3-0) - 자본시장과 기업가치 분석
(3-3-0) - 데이터 관리와 금융통계분석
(3-3-0) - 데이터 기반의 증권투자와 자산관리
(3-3-0) - 알고리즘 기반 증권투자
(3-3-0) - 주거용 실물자산 시장분석과 투자전략
(3-3-0) - 수익형 실물자산 시장분석과 투자전략
(3-3-0)
2-1
K-Culture 역사 및 트렌드 변화 이해
K-문화와 산업심리
2-2
K-문화콘텐츠 온라인 마케팅
K-문화콘텐츠와 글로벌 리더십
3-1
K-콘텐츠 문화, 소프트 파워 연구
K-문화콘텐츠 현장실습
3-2
K-문화콘텐츠 실천 세미나
K-문화콘텐츠 기획 및 실전 운영
4-1
문화콘텐츠 종합 설계 (캡스톤)
4-2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필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