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권도개론(Taekwondo Introduction)
-
태권도 심화 기술 습득을 위한 태권도의 기본 동작, 기본 발차기, 기초 기술 및 기초 체력훈련 방법 학습
- 태권도기초실기(1) (Practice of Basic Taekwondo(1))
-
태권도 심화 기술 습득을 위한 태권도의 기본 동작, 기본 발차기, 기초 기술 및 기초 체력훈련 방법등을 학습
- 태권도 융합실기(1) (Physical Practice(1))
-
태권도 심화 기술 습득 후 태권도의 기본동작, 기본 발차기, 기초 기술 및 기초 체력훈련 방법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융합하여 실기 진행
- 전공외국어(1) (Taekwondo Foreign Language (1))
-
태권도 분야의 학술적 용어를 이해하고, 일상생활 수련 및 수련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국제적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 수업
- 태권도 교육융합론 (Theory of Taekwondo Educatition Convergence)
-
태권도 교육활동에 꼭 필요한 교육내용으로 구성. 특히, 교육학 이론을 토대로 학습지도의 전개에서는 무급에서 유단자가 되기까지 연간계획, 단원계획을 수록하였고, 학습지다온의 실제에서는 기본도작, 품새, 겨루기의 본사업안과 교수-학습의 전개 등 효율적인 학습지도를 위한 모형을 제시
- 태권도 융합실기(2) (Physical Practice(2))
-
태권도 심화 기술 습득 후 태권도의 기본동작, 기본 발차기, 기초 기술 및 기초 체력훈련 방법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융합하여 실기 진행
- 전공외국어(2) (Taekwondo Foreign Language (2))
-
태권도 분야의 학술적 용어를 이해하고, 일상생활 수련 및 수련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국제적 의사소통을 위한 중국어 수업
- 태권도기초실기(2) (Practice of Basic Taekwondo(2))
-
태권도 심화 기술 습득을 위한 태권도의 기본 동작, 기본 발차기, 기초 기술 및 기초 체력훈련 방법등을 학습
- 태권도사 (Taekwondo History )
-
본 교과목은 올림픽 스포츠로 자리 잡기까지 태권도의 역사와 오늘날 현대사회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문학적 시각으로 태권도를 이해하며 동양의 대표적인 무도로 발전 가능성을 탐색한다.
- 창작 프리스타일 품새 (Creative Freestyle poomsae)
-
창작품새의 구성은 태권도의 공격과 방어의 기본 동작 토대에서 새로운 동작을 개발하여 품새 이름과 품새선을 정리, 품새 이름과 품새선에 상응한 상징적 기세를 드러내고 품새의 정점에 기합을 배치하여 체계적으로 연결 및 구성 창작 품새란 태권도의 정신과 기술적인 동작의 실용성과 가치성이 있는 품새로 창작된 작품을 의미
- 태권도 산업 빅데이터 (Taekwondo Industry Big Data)
-
태권도 교육산업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태권도 산업을 이해하고 산업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수업
- 전공실기(1) (Major Practice(1))
-
태권도 겨루기 규칙에 의거하여 겨루기의 전반적인 규칙 및 실기 습득
- 전공실기(2) (Major Practice(2))
-
태권도 품새 경기규칙에 의거하여 동작의 정확성 및 표현성의 속도와 힘, 좌화(강유, 완급, 리듬). 기의 표현 등을 위한 평가 및 트레이닝
- 태권도 시범 안무법 (Taekwondo Demonstration Dance Act
-
전공자들의 기본적인 기술 및 개인특기 발차기를 파악 후 팀별로 그룹을 나누어 수업을 진행. 현재 태권도한마당 및 태권도 경연대회에서 실행하고 있는 진행방식으로 인원가 시간을 배정하여 태권도 기술을 활용한 팀별 대항전을 하여 수업을 진행하여 보다 재미있게 수업을 진행
- 태권도 외교연구 (Diplomatic studies in Taekwondo)
-
태권도는 지극히 고전적이고 현대적이며, 형이상적이면서도 과학적임. 이러한 태권도라는 학문의 성격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면서도, 그만큼 매력적인 요소가 많으며, 다양한 영역에서 학문적으로 체계적인 토대가 형성되어가며 발전해옴. 본 과목은 태권도와 관련된 사회현상을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현대사외에서 태권도를 이해하고 성장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비단 태권도인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을 비롯한 여러 비형식적인 장에서 가르침과 배움을 실천하는 분들과, 한국의 전통문화 스포츠로서 태권도를 이해하고자 함
- 겨루기론 (Theroy of Taekwondo Competition)
-
태권도의 총체라고 할 수 있는 겨루기의 신체적인 면, 정신적인 면, 기술적인 면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스템 및 전술 등을 교육함
- 운동 상해 및 AT(Exercise injury and AT)
-
본 교과는 보건·체육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스포츠상해의 발생 메커니즘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나아가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저자들의 오랜 임상경험을 집약시켜 집대성한 것으로 스포츠상해의 발생기전과 이론적 기초는 물론 다리, 몸통, 팔에 나타나는 다양한 스포츠상해의 원인과 처치방법, 재활훈련방법을 수록하고 있으며, 여성 및 노년기의 스포츠상해를 망라하는 스포츠 상해화 재활의 바이블 수업
- 전공실기(3) (Major Practice(3))
-
태권도 시범공연의 필요성, 시범의 종류, 시범 구성과 내용 등 시범 및 격파의 특성과 원리 및 시범의 전반적 특성 이해. 태권도 시범기술 습득
- 태권도 경기규칙 및 심판법(Taekwondo Rules and Judges Act)
-
태권도심판의 역사와 정의를 체득하고 올바른 심판방법과 경기규칙을 습득
- 전공실기(4) (Major Practice(4))
-
글쓰기의 기본집필 작업을 이해하고 여타 글쓰기와 시나리오 작법의 차이점 학습으로 시나리오의 개념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과정의 기본형식 이해 및 학습
- 태권도행정 및 정책 (Taekwondo Administration and Policy)
-
태권도전공 학생들에게 체육 스포츠 분야에서 일어나는 행정 및 관리에 대한 과정과 절차 등을 학습
- 졸업작품발표
-
졸업 작품 발표까지 졸업 작품기획을 바탕으로 작품내용을 구성하여 졸업 작품 관련 교육 및 학습
- 전공실기(5) (Major Practice(5))
-
전공 영역별로 특성화된 분야를 선정하여 전공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기 능력 심화학습
- 태권도문화콘텐츠연구 (A Study on Taekwondo Culture Content)
-
국내외 태권도문화 산업을 전공자로서 이해하고 다양한 성공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인간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교육과 문화의 경험론적 접근과 비교함으로서 연구자로서 교육과 문화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
- 스포츠 코칭론 (Sports coaching theory)
-
태권도의 품새 및 대련기법을 통한 신 태권도 지도력 함양
- 태권도 창업 현장실습(Taekwondo Start-up Practice)
-
헉교에서 배운 태권도 이론과 실기를 토대로 하여 태권도 교육현장에 나가서 체험해 보는 것으로 태권도 관련 종사자가 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서 현장실무능력강화
- 전공실기(6) (Major Practice(6))
-
성공적인 도장실태 파악과 경영자 또는 지도자, 교육자로서 갖춰야할 교육의 기본 마인드 및 지도방법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