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랫드로잉 (Flat Drawing)
-
패션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활용해야하는 프레젠테이션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초적인 드로잉 방법을 습득한다.
- 서스테이너블패션 (Sustainable Fashion)
-
패션디자인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용어와 이론들을 학습하고, 전반적인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를 일람하며 트렌드를 읽는 시각과 문제해결을 위한 모더니티의 개념을 확립하고 패션디자인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타진하여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 플랫패턴메이킹(1) (Flat Pattern Making(1))
-
의복의 기능과 패션디자인의 감성을 연구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쾌적한 의복 시스템을 제작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패션디자인 기초 이론 및 발상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패션디자인 전반의 프로세스를 경험한다.
- 색채와디자인 (Color & Design)
-
기본적인 패션디자인 이론과 함께 색채이론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배색방법을 탐구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다.
- 패션모델링스튜디오(1) (Fashion Modeling Studio(1))
-
의복디자인의 요소인 실루엣, 소재, 색상, 패턴, 디테일에 대해 학습하고 각 요소의 조화있는 코디네이션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이러한 복식의 조형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의복을 디자인하여 샘플링에 이르기까지 모델링과 관련된 실무과정을 경험하며 패션산업에서 디자이너에게 요구하는 필수 능력을 함양한다.
- 패션이미지메이킹(1) Fashion Image Making(1)
-
개인의 관념적인 이미지를 상대에게 전달하는 능력은 디자이너에게 필수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의복과 소재를 패션 일러스트에서부터 디자인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조형적으로 접근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 패션CAD (Fashion CAD)
-
의복의 기능과 CAD(Computer Aided Design)의 패션산업 내 효용성을 이해하고, 이를 접목하기 위한 테크닉을 학습, 수행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습득한다. 이를 통해 실무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CAD 툴의 운용과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소재, 그리고 이를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패션디자인의 감성을 연구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쾌적한 의복 시스템을 제작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패션디자인 기초 이론 및 발상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패션디자인 전반의 프로세스를 경험한다.
- 플랫패턴메이킹(2) (Flat Pattern Making(2))
-
기본 복식의 패턴을 제작하고 봉제를 통해 제작해봄으로써 의상 디자인의 구성 방법을 이해하고, 현대 패션디자인의 변화에 따른 패턴 디자인과 봉제 방법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의복을 디자인할 때 디자인의 구현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도식화 표현을 위한 지식까지도 습득한다.
- 패션모델링스튜디오(2) Fashion Modeling Studio(2)
-
의복디자인의 요소인 실루엣, 소재, 색상, 패턴, 디테일에 대해 학습하고 각 요소의 조화있는 코디네이션 방법에 대해 탐구한다. 이러한 복식의 조형원리를 이해하고 실제로 의복을 디자인하여 샘플링에 이르기까지 모델링과 관련된 실무과정을 경험하며 패션산업에서 디자이너에게 필요로 하는 필수 능력을 함양한다.
- 패션이미지메이킹(2) Fashion Image Making(2)
-
개인의 관념적인 이미지를 상대에게 전달하는 능력은 디자이너에게 필수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의복과 소재를 패션 일러스트에서부터 디자인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조형적으로 접근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 디지털트윈스튜디오(1) Digital Twin Studio(1)
-
개인의 생각 취향, 디자인 철학, 컨셉을 시각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그래픽디자인을 활용하여 디자인 발상에서부터 3D그래픽으로서의 패션디자인 구현까지를 다루는 수업으로, 다양한 의복의 디자인 실험을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 창작 능력을 기른다.
- 테일러링스튜디오(1) Tailoring Studio(1)
-
같은 아이템이지만 성별에 따라 의복을 제작해 봄으로써 남성과 여성 인체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남성복과 여성복에서 필요로 하는 필수적인 지식과 봉제 방법, 구성 방법을 익힌다. 또한 좀 더 심화된 패턴 제작과 봉제방법을 익힘으로써 의복을 디자인하고 제작함에 전문성을 기른다.
- 패션크리틱 (Fashion Critic)
-
패션디자인 전반의 총체적인 디렉팅 능력을 고취시킨다. 특히 창의성, 예술성, 기능성을 아우르는 능력을 갖춘 글로벌 패션리더로의 도약을 위해 보다 객관적인 시선과 냉철한 판단을 필요로 하며 제품 기획 및 디자인 전반의 지식을 습득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패션매니지먼트 (Fashion Management)
-
사회적 변화,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등을 기반으로 패션디자인 트렌드를 이해, 분석하는 이론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패션 머천다이징, 패션 마케팅에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여 패션디자인전공생의 진출 경로를 확장하며, 패션디자인 기획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테일러링스튜디오(2) (Tailoring Studio(2))
-
같은 아이템이지만 성별에 따라 의복을 제작해 봄으로써 남성과 여성 인체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남성복과 여성복에서 필요로 하는 필수적인 지식과 봉제 방법, 구성 방법을 익힌다. 또한 좀 더 심화된 패턴 제작과 봉제방법을 익힘으로써 의복을 디자인하고 제작함에 전문성을 기른다.
- 디지털트윈스튜디오(2) (Digital Twin Studio(2))
-
개인의 생각 취향, 디자인 철학, 컨셉을 시각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그래픽디자인을 활용하여 디자인 발상에서부터 3D그래픽으로서의 패션디자인 구현까지를 다루는 수업으로, 다양한 의복의 디자인 실험을 통해 창의적인 디자인 창작 능력을 기른다.
- 패션디자인스튜디오 Fashion Design Studio
-
의복의 기능과 패션디자인의 감성을 연구하여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쾌적한 의복 시스템을 제작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패션디자인 기초 이론 및 발상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패션디자인 전반의 프로세스를 경험한다.
- 패션브랜딩 (Fashion Branding)
-
사회적 변화,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등을 기반으로 패션디자인 트렌드를 이해, 분석하여 효과적인 머천다이징 및 마케팅 계획 수립을 실습을 통해 경험함으로써 효과적인 브랜딩 방안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통해 트렌드를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창업아이템연구 (Branding & Item Research)
-
패션실무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의 사례를 중심으로 창업아이템을 연구, 토론함으로써 창업 및 브랜딩을 위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개인에 맞는 독창적인 패션아이템을 기획하고 실제로 제작해 봄으로써 아이템 생산에 대한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경험, 습득한다.
- 3D패션디자인(1) 3D Fashion Design(1)
-
디자인을 실제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테크닉과 실무에서 정한 규정과 약속을 이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이론과 실무를 경험하여 실제 디자인 생산을 관리할 수 있다.
- 졸업패션프로젝트 (Graduate Fashion Project)
-
패션디자인전공의 이론적 지식과 테크닉의 종합 결과물로서 졸업프로젝트를 준비, 진행하고, 학생 스스로 디자인 기획, 의상 제작 등을 통해 신인 디자이너로 거듭나는 과정이다. 변화하는 패션산업의 방향성을 파악하여 새로운 형태의 프레젠테이션 방법을 탐구하고 패션디자인 전반의 프로세스를 경험하여 실무능력을 향상시킨다.
- 패션스타일링 (Fashion Styling)
-
패션 코디네이션과 메이크업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졸업 프로젝트에 필요한 헤어, 메이크업, 의상, 액세서리 등의 전체적인 조화와 연출을 위한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이를 실습을 통해 경험해봄으로써 의복의 디자인을 더 돋보이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토탈 패션브랜드로서의 아이템 구성, 창업을 위한 아이템 탐색 및 관련 지식을 습득한다.
- 패션스타트업프로젝트 (Fashion Start-up Project)
-
사회와 사회 구성원이 직면한 문제를 분석하고 디자인 및 마케팅을 그 해결방안으로서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스토리 및 디자인 스토리를 구축하여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브랜드 런칭을 경험한다.
- 3D패션디자인(2) (3D Fashion Design(2))
-
디자인을 실제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테크닉과 실무에서 정한 규정과 약속을 이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이론과 실무를 경험하여 실제 디자인 생산을 관리할 수 있다.
- 패션포트폴리오 (Fashion Portfolio)
-
패션 포트폴리오는 패션디자인 전 과정을 압축하는 과정이자 디자이너의 역량을 제시하기 위한 도구로서 패션포트폴리오에 접근한다. 패션산업 전반의 현황과 트렌드 분석을 통해 포트폴리오의 당위성과 논리를 제시함으로써 더욱 설득력있는 디자인 스토리를 구축함으로써 각자의 디자인적 감성과 취향을 보편적 미감에 편입시켜 작업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디자이너컬렉션분석 (Designer Collection Analysis)
-
디지털 패션디자인 아카이브를 통해 개인의 컨셉에 맞는 디자인 레퍼런스를 정리하고 디자이너의 취향으로 정제하여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완성하는 것에 목적을 두어 2D, 3D를 넘나드는 효과적인 디자인 컨셉과 디자인의 시각화 방안에 대해 탐구하여 제시한다.
- 패션프로모션 (Fashion Promotion)
-
현대사회의 디자인은 단순히 심미성과 실용성뿐 만 아니라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의미와 현대적 의의를 지닐 때 좋은 평가를 받게된다. 이 수업은 디자인이 담고 있는 스토리와 의미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탐구하며, 문제의 설정에서 이를 디자인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논리적이고, 문제해결단계에서의 의복디자인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