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능력 |
전공능력 강의 |
교과목 |
교과 성취목표 |
세부 교육과정 성취 목표 |
유관 진로/취업 분야 |
Legal mind |
■ 형법, 형사특별법 등 실체법과 형사소송법 등 절차법에 기초하여 법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함양 |
➊ 형법총론 |
■ 범죄 성립요건의 이해 |
■ 구체적인 법의 이해 ■ 형법의 구성요소 이해 ■ 형사소송 상의 절차 이해 ■ 형법과 형소법의 관계 파악 |
■ 법원직 ■ 검찰직 ■ 국가공무원 ■ 지방공무원 ■ 한국형사정책법무연구원 ■ 대학원 등 |
➋ 기본권론 |
■ 살인, 절도, 강도, 폭력 등 개별 범죄의 성립요건 이해 |
||||
➌ 형사소송법 |
■ 형사소송의 기초개념 파악 및 수사절차 이해 |
||||
➍ 형사증거법 |
■ 공판절차와 증거수집의 이해 |
||||
➎ 형법특강 |
■ 형법과 관련된 판례 및 사례의 문제점 분석 |
||||
➏ 형사소송법특강 |
■ 형사소송법과 관련된 판례 및 사례의 문제점 분석 |
||||
➐ 형사판례연구 |
■ 형사 판례 및 사례를 통한 사건 분석 및 문제해결 능력 향상 |
||||
공직관 및 리더십 |
■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오직 양심에 따라 법을 집행하는 형사사법 공무원의 인성 함양 |
➊ 헌법총론 |
■ 국가의 권한과 조직 이해 |
■ 공법과 사법의 이해 ■ 대한민국 헌법의 구성 이해 ■ 민사상의 권리 파악 ■ 경찰의 업무 이해 |
■ 법원직 ■ 검찰직 ■ 경찰간부 ■ 국가공무원 ■ 지방공무원 ■ 국가정보원 ■ 감사원 등 |
➋ 기본권론 |
■ 국민의 기본권 및 충돌 등의 해결방안 파악 |
||||
➌ 민법총칙 |
■ 민법의 기본원리 이해 |
||||
➍ 경찰행정법Ⅰ |
■ 경찰의 기본 업무 및 관련 법 이해 |
||||
➎ 경찰행정법Ⅱ |
■ 경찰의 행정 작용 및 행정 구제법 등에 대한 이해 |
||||
➏ 헌법특강 |
■ 헌법 관련 판례와 헌법재판소의 판례 분석 |
||||
경찰실무능력 |
■ 현장에서 바로 투입 가능한 경찰임무의 이해능력 함양 |
➊ 경찰학총론 |
■ 범죄 성립요건의 이해 |
■ 경찰의 업무 이해 ■ 경찰청 조직의 구성 파악 |
■ 경찰공무원 ■ 해양경찰공무원 ■ 교정공무원 ■ 국가정보원 ■ 101단 ■ 청와대 경호처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 대학원 등 |
➋ 경찰학각론 |
■ 살인, 절도, 강도, 폭력 등 개별 범죄의 성립요건 이해 |
||||
➌ 경찰조직론 |
■ 형사소송의 기초개념 파악 및 수사절차 이해 |
||||
➍ 수사학개론 |
■ 공판절차와 증거수집의 이해 |
||||
➎ 재산범죄론 |
■ 형법과 관련된 판례 및 사례의 문제점 분석 |
||||
➏ 경찰생활안전론 |
■ 형사소송법과 관련된 판례 및 사례의 문제점 분석 |
||||
➐ 경찰학세미나 |
■ 형사 판례 및 사례를 통한 사건 분석 및 문제해결 능력 향상 |
||||
범죄예방 및 대처 능력 |
■ 변화되는 범죄 양상에 따른 이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함양 |
➊ 청소년비행론 |
■ 청소년 비행의 원인 파악 및 현황 분석 |
■ 범죄 원인의 이해 ■ 범죄 발생의 대책 방안 ■ 범죄 예방법 비교 ■ 피해자 보호 절차 ■ 경찰과 민간경비의 관계 |
■ 경찰공무원 ■ 해양경찰공무원 ■ 교정공무원 ■ 국가정보원 ■ 민간경비업체 ■ 보안업체 ■ 탐정업체 등 |
➋ 범죄학 |
■ 범죄 발생의 원인 파악 및 대책 방안 강구 |
||||
➌ 범죄심리학 |
■ 범죄자 심리 분석 및 대책 방안 강구 |
||||
➍ 범죄예방론 |
■ 범죄예방 기법 평가 및 분석 |
||||
➎ 피해자학 |
■ 범죄와 범죄피해자의 관계 이해 |
||||
➏ 민간경비론 |
■ 민간경비의 업무 이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