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기(1)(Acting1)
-
배우로써 무대, 매체, 방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기의 기초를 배운다.
- 즉흥연기(Improvisatory Acting)
-
즉흥적인 상황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연기를 통해 본인의 연기를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 대본분석과 성격창조(Analysis Character Creation)
-
연기에 필요한 분석과 창조를 통해 인물을 구축하고 표현할 수 있다.
- 신체연기(Physical Acting)
-
신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해보는 수업이다. 배우들이 가져야할 올바른 시네를 가지기 위한 수업이고 어떻게 하면 그 올바른 신체를 가질수 있는지에 대한 인지가 필요한 시간이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시간 보다 우리가 알고있지만 인지 하지 못한 것을 깨우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 연기(2)(Acting2)
-
과장된 연기가 아닌 사실적인 연기를 함으로서 관객에게 부담없는 연기를 습득하고 표현한다.
- 극장실습(1)(Practice of stage device1 )
-
배우뿐만 아니라 스텝으로써 작품을 분석하는 법과 표현하는 법을 배워 무대에 실제적으로 활용하고 실습한다.
- 장면연기(1)(Scene Acting1)
-
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들과 실제훈련을 통해 본인, 타인을 알아가는 시간을 갖는다. 협력을 요구하는 작업인 만큼 대인관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도모함으로 자기표현의 중요성과 의사전달능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연극제작실습(1)(Theater Production Practice1)
-
공연을 통해 배우와 스텝으로써의 연기와 기술을 배워 공연을 제작할 수 있다.
- 연기(3)(Acting3 )
-
전문 연기자에게 요구되는 중급단계의 화술연기와 신체연기를 체득할 수 있다.
- 기획실습(Planning Practice )
-
공연의 기획을 실습하고 실전에 접목시킨다.
- 극장실습(2)(Practice of stage device2 )
-
무대장치를 설치하는 책임이 있는 기술 인력도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 분석력을 갖추어야 한다. 무대 기술에는 현장의 표준 지침이 있고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처할 수 있는 기본 메뉴얼도 있지만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해결책, 새로운 기술도 함께 발전해야 한다. 무대장치의 기본 요소를 학습하여 현장 활동에 적용 할 수 있도록 한다.
- 연극제작실습(2)( Theater Production Practice2)
-
공연을 통해 배우와 스텝으로써의 연기와 기술을 배워 공연을 제작할 수 있다.
- 카메라액팅(1)(Acting Camera1 )
-
카메라 기본앵글과 프레임, 카메라의 기초움직임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여 연기할 수있다.
- 연출실습(Presentation practice)
-
공연예술에 있어 연출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그 예술적 가치를 극대화시킨다. 공연예술은 ‘무대’, ‘조명’, ‘음향’ 등 스탭적인 요소와 ‘배우’, ‘무용수’, ‘악사’ 등 실연자가 하나가 되어 완성되는데 이를 총괄하는 역할 혹은 책임자를 연출이라 한다. 이 강의는 그러한 연출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연출적 방법론을 탐구함으로써 공연예술작품을 바라보는 시각과 사고,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공연예술작업 진행과정의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며 공연예술작품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의 확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기(4)(Acting4)
-
연기에 필요한 전반적인 능력을 키우며 그것을 활용하여 앞으로의 오디션에 활용하게 한다
- 연극제작실습(3)( Theater Production Practice3 )
-
공연을 통해 배우와 스텝으로써의 연기와 기술을 배워 공연을 제작할 수 있다.
- 카메라액팅 (2)( Acting Camera2 )
-
카메라 앵글과 프레임, 카메라의 움직임에 대한 내용을 활용하여 연기할 수있다.
- 장면연기(2)( Scene Acting2 )
-
연기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들과 실제훈련을 통해 본인, 타인을 알아가는 시간을 갖는다.협력을 요구하는 작업인 만큼 대인관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타인과의 상호관계를 도모함으로 자기표현의 중요성과 의사전달능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연극제작실습(4)(Theater Production Practice4)
-
공연을 통해 배우와 스텝으로써의 연기와 기술을 배워 공연을 제작할 수 있다.
- 보이스액팅( Voice Acting )
-
목소리연기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다.
- 대본창작( Script Creation )
-
연기에 필요한 대본을 창조를 통해 작품을 완성한다.
- 뮤지컬레파토리( Musical Repartory )
-
뮤지컬 작품을 연습하고 공연함으로써 각각의 수강생에게 부여받은 역할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의 목표와 개인적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한다.
- 연극제작실습(5)( Theater Production Practice5 )
-
공연을 통해 배우와 스텝으로써의 연기와 기술을 배워 공연을 제작할 수 있다.
- 드라마 · 영상제작실습(1) ( Drama & video Production Practice1 )
-
영상으로만 표현될 수 있는 디테일한 연기를 통해 배우로써의 스펙트럼을 넓혀 활용한다.
- 졸업공연제작( Graduation Theater Production Practice )
-
공연을 통해 배우와 스텝으로써의 연기와 기술을 배워 공연을 제작할 수 있다.
- 드라마 · 영상제작실습(2) ( Drama & video Production Practice2 )
-
영상으로만 표현될 수 있는 디테일한 연기를 통해 배우로써의 스펙트럼을 넓혀 활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