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사항
내용 | |
---|---|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상담 전공 박사 | |
|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석사 |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학사 |
|
Duke University, Dept. of Psychiatry & Behavior Sciences, Visiting Scholar |
경력사항
내용 | |
---|---|
|
(현) 경기도북부자치경찰위원회 고충심사위원 동두천경찰서 경미범죄심사위원회 위원 의정부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1388 청소년지원단 위원 시립보라매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운영자문위원 |
|
(전) 남서울대학교 아동상담 및 심리치료 전공 전임강사 |
|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및 생활과학대학원 가족상담 전공 객원교수 |
|
경기대학교 상담학과 초빙교수 |
|
한신대학교 재활상담학과 초빙교수 |
|
서울 가정법원 면접교섭센터 전문상담위원 |
자격증
내용 | |
---|---|
|
청소년상담사 1급 (여성가족부) |
|
상담심리사 1급, 주 수련감독자 (한국상담심리학회) |
|
발달심리사 1급, 주 수련감독자 (한국발달심리학회) |
|
인지행동치료전문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
|
트라우마전문상담사 (한국트라우마연구교육원) |
|
아동상담지도감독전문가 (한국아동학회) |
|
놀이치료임상수련감독자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
|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및 실습 담당교수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 |
EMDR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Reprocessing) Weekend I & II |
다학제간 융복합 R&D 실적
년도 | 내용 |
---|---|
2015-2017 | 발달지연문제 고위험군 영유아를 위한 한국형 발달지연문제 진단 및 포괄적 평가도구 개발 (보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단) |
2015 | 보육교사의 보육스트레스 조절 상담 프로그램 개발 (보건복지부 보육기반과) |
2015 | 인천 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에 대한 응급심리지원 연구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
2014-2018 | 자폐성장애 영유아를 위한 한국형 조기 선별도구 및 교육과정 개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사회서비스 R&D) |
2014-2016 | 지역사회 연계 영유아 마음건강 증진 서비스 사업 (두산사회공헌사업 바보의나눔(재)배분사업) |
2013 | 영유아 지역정신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
2011-2013 | 0-3세 영유아의 영상물 과몰입 실태조사 및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아산사회복지재단) |
논문
년도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2024 |
SW비전공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SW학습 동기 강화 심리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박진아 |
2024 |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The Journal of Social Convergence Studies |
박진아 외 |
2024 |
고위험군 남·여 청소년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부모자녀 관계 차이: 내재화-외현화 공존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
청소년학연구 | 박진아 |
2023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고위험군 남·여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인지발달중재학회지 | 박진아 |
2023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분류 및 부모자녀관계 탐색 | 열린부모교육연구 | 박진아 |
2022 | Preliminary Report of Validity for the Infant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Neurodevelopmental Delay, a Newly Developed Inventory for Children Aged 12 to 71 Months |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
박진아 외 |
2020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고위험군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유형 분류 및 문제행동 탐색 | 놀이치료연구 | 박진아 외 |
2020 | 부모자녀관계가 고위험군 남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 박진아 |
2020 | 군집분석을 활용한 아동 및 초기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열린부모교육연구 |
박진아 |
2020 |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 고위험군 청소년 예측모형: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중심으로 | 정서행동장애연구 | 박진아 외 |
2020 |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부모와 고위험군 청소년 자녀 간 평정일치도 및 문제행동 | 생애학회지 | 박진아 |
2020 | 보육현장 아동학대에 대한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 개발 및 적용: 다학제간 협력적 연계 시스템을 중심으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박진아 외 |
2020 | Effects of Narrative Exposure Therapy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insomnia in traumatized North Korean refugee youth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 박진아 외 |
2019 | Exploring Diagnostic Validity of the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2(ADOS-2) in South Korean Toddlers and Preschoolers | Autism Research | 박진아 외 |
2019 | 청소년 자기보고용 부모자녀관계 척도 개발 연구 | 가족과 문화 | 박진아 |
2019 |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맞춤형 다학제간 근거기반 상담 적용 및 활용방안: 내레티브 노출치료(Narrative Exposure Therapy: NET)를 중심으로 | 미래청소년학회지 | 박진아 |
2018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 | Psychiatry Investigation | 박진아 외 |
저서
년도 | 내용 | 발표잡지/출판사 | 저자 |
---|---|---|---|
2024 | 아동상담의 이해: 유아기부터 학령기까지. 2판 |
|
박진아 외 |
2022 | BeDevel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 영유아 사회성 발달 안내서 |
|
박진아 외 |
2021 | DC:0-5 영유아기 정신건강 및 발달장애 진단분류 |
|
박진아 외 |
2020 | K-PSI-4 아동용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4판 |
|
박진아 외 |